CSS의 display 속성값이 "none" 상태의 HTML 태그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어 서서히 나타나게 하는 명령
$(셀렉터).show( 속도 );
show( )는 속도를 기술한 뒤에 ,(콤마)로 구분하고 콜백 함수를 넣을 수 있음
$(셀렉터).show(속도, 콜백함수);
콜백 함수라는 것은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가 끝난 후 이어서 실행되는 명령을 의미
"처리가 끝나면 이 함수를 호출할 것"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콜백함수라고 함
hide( )는 show( )의 반대 동작을 하는 명령
hide( )의 괄호 안에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속도와 콜백 함수를 기술할 수 있고 지정한 속도로 사이즈(높이 / 폭)를 서서히 변화시키면서 태그를 안보이게 함
$(셀렉터).hide(속도, 콜백함수);
태그의 표시 / 비표시를 반복하여 변경한는 명령
show( ) / hide( )와 마찬가지로 toggle( )의 괄호안에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속도와 콜백함수를 기술할 수 있음
$(셀렉터).toggle(속도, 콜백함수);
ㄴtoggle( )에는 클릭될 때마다 다른 처리를 하는 기능도 있음
slideDown( )은 비표시된 태그 높이 0부터 원래의 높이로 서서히 늘려가며 표시
slideUp( )은 표시 상태의 태그 높이를 서서히 0에 가깝게 줄여가며 표시
$(셀렉터).slideDown(속도, 콜백함수);
$(셀렉터).slideUp(속도, 콜백함수);
toggle( )은 슬라이딩 효과 버전이하고 생각하면 됨
셀렉터로 지정한 태그가 표시 상태인 경우에는 비표시 상태로, 비표시 상태인 경우에는
표시 상태로 슬라이딩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어 실행
$(셀렉터).slideToggle(속도, 콜백함수);
문자 그대로 페이드인 / 페이드아웃 효과를 내면서 HTML 태그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명령
"페이드인" 어두움에서 점점 밝아지는 상태를 말함
"페이드아웃" 밝은 상태에서 점점 어두워지는 상태를 말함
$(셀렉터).fadeIn(속도, 콜백함수);
$(셀렉터).fadeOut(속도, 콜백함수);
셀렉터로 지정한 태그의 투명도를 설정한 값까지 서서히 변경하는 명령
$(셀렉터).fadeTo(속도, 투명도, 콜백함수);
임의의 CSS 속성값을 서서히 변경시키는 독자적인 애니메이션효과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
$(셀렉터).animate( 값을 변경하고 싶은 CSS 속성, 속도, 움직임, 콜백함수 );
폼 필터 정리 (0) | 2022.08.23 |
---|---|
폼 태그의 기능 (0) | 2022.08.23 |
이벤트 정리2 (0) | 2022.08.23 |
이벤트 (0) | 2022.08.23 |
HTML / CSS를 조작하는 제이쿼리 명령어 정리 (0) | 2022.08.22 |